스킵네비게이션

경복대학교 마이페이지
커뮤니티 학과공지

학과공지

행복한 친환경 도시 남양주 (23년6월 남양주 소식지)

친환경건축학과 2023.09.20 조회수 88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게시글은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남양주시는 환경을 오염하지 않고 
자연과 잘 어울리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교통, 건축, 녹지 조성, 자원순환 등의 부문에서 
종합적인 친환경 도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친환경 도시의 필수 조건이 무엇이며, 
친환경 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제언을 해본다. 

글_이근우 경복대학교 친환경건축과 교수, 
건설교육원 부원장

왕숙천 일원에서 깨끗한 남양주시를 위한 EM 흙공 던지기 및 환경 정화 활동

전 세계 탄소중립을 위한 동참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 피해는 모두가 실감할 것이다. 현재의 성장과 미래의 생존을 도모하기 위하여 남양주시에서는 기후 위기의 원인인 온실가스(이산화탄소 등) 배출량을 줄이고자 ‘탄소중립 2050’ 정책에 동참하고 있다. ‘탄소중립’이란 인간 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대한 감소시키고 산림 등을 통해 흡수량을 증대하여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이다. 전 세계에서 도시는 지구 표면의 약 3%를 차지하는데, 온실가스의 80% 정도가 도시지역에서 발생한다. 도시와 건축물이 온실가스의 주요 배출원이자 감축의 주체로서 탄소중립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 이유다.
현재 전 세계의 국가들이 탄소중립 도시동맹을 결성하여 ‘Race To Zero’ 캠페인에 참여하는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중 덴마크의 수도 ‘코펜하겐’은 세계 최초로 2025년까지 탄소중립도시를 이루겠다고 선언했다. 덴마크는 석유파동을 경험한 1970년대 중반부터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 정책을 꾸준히 추진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신재생에너지를 적극 사용하면서 에너지 효율이 높은 사회경제 구조로 변화할 수 있었다. 도시의 공간구조 또한 대중교통과 자전거 이용이 편리한 형태로 개발되어 교통수요를 최소화하였으며, 탄소중립 선도 사업을 펼쳐 주민들의 지지와 공감을 얻었다. 국내 언론에서도 소개된 코펜힐(CopenHill)은 폐기물을 이용하는 바이오가스 발전소로, 기피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스키장 등의 여가 기능을 부여하여 폐기물 처리와 에너지 생산 그리고 수십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지역 명소가 되었다. 코펜하겐은 탄소 배출량을 줄임으로써 오히려 도시가 발전된 사례로 높이 평가받고 있는데, 2005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이 42% 감소하였고, 같은 기간 인구는 22% 증가했으며, 경제는 24% 성장했다고 한다. 

남양주시는 친환경 도시를 만들기 위하여
녹색건축물, 자원순환,
도시숲 조성, 전기차 보급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남양주, 에너지와 건축물, 교통 등
다각적인 노력
친환경 도시로 탈바꿈하기 위해 노력하는 남양주시는 지난 5월 11일 지방자치단체로서 선도적으로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조례’를 발표하고,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 4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울러 향후 남양주시의 예산 수립 시 온실가스 감축 관련 평가를 받도록 할 예정이다. 이 조례에는 친환경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전환, 녹색건축물 확대,탄소 흡수원 증대, 녹색 공간 보전·관리, 물관리, 기후 위기에 따른 사회적 안전망 마련, 농림수산의 전환 촉진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녹색건축물 확대를 위해 정부는 2022년부터 공공기관에 제로에너지건축물(Zero Energy building·ZEB) 도입을 시행하고 있다. 
제로에너지건축물은 건축물에 필요한 에너지의 부하를 단열 및 고효율 냉난방 설비 등을 통하여 최소화하고, 태양전지 등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에너지 이용 효율을 높이는 녹색건축물을 말한다. 남양주시는 이에 발맞춰 지자체 최초로 연면적 500㎡ 이상 모든 공공건물에 대해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에너지를 자체 공급하는 제로에너지빌딩(ZEB)을 선제적으로 도입해 추진하고 있다. 또한 남양주시는 순환 가능한 친환경 도시와 자원재활용 및 쓰레기 등의 처리를 위하여 2026년까지 자원순환 종합단지를 조성할 예정이다. 이곳에서 도시 에너지원으로 쓰일 바이오가스와 수소를 생산하는 정부시범사업도 함께 진행한다. 이와 함께 남양주시는 국립수목원을 포함한 여러 녹지 공간이 잘 갖추어진 도시로서 미세먼지 저감 및 폭염 방지를 위해 도시숲 조성 사업도 지속 확대해나가는 중이다. 교통 부문에서는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수도권 전철을 포함한 대중교통을 확대하고 전기차 보급 및 2026년까지 전체 차량의 10% 이상을 친환경 자동차로 전환할 예정이며 충전소 역시 확충해나갈 계획이다.

친환경 도시를 위해인식 전환 필요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행복한 친환경 도시를 만들기 위하여 건축물 부문에서 몇 가지 제안하고자 한다. 스웨덴의 환경운동가 그레타 툰베리(2019년 <타임>지 올해의 인물)는 “No one is too small to make a difference”라고 말했다. 이 말은 변화를 만드는 데는 모두의 참여가 필요하다는 점을 역설한 것이다. 제로에너지건축물의 예를 들어보면, 2022년부터 공공기관에 도입을 의무화했지만 전체 건축물에서 공공기관 건축물이 차지하는 비율은 5% 미만이다. 현재 500㎡ 이상 규모의 건축물에 적용되는 의무 기준을 따르는 건축물은 전체의 20%밖에 되지 않는다. 로에너지건축물의 비율이 건물의 동 수 기준으로 볼 때 1%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2050년까지 그린리모델링 사업을 통한 기존 건축물의 탄소중립 실천은 요원한 상황이다. 

제로에너지건축물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존 건축물 대비 비용이 8~15% 이상 추가로 필요하며 설계, 시공, 재료, 감리 등에 시간과 지식, 경험이 있어야 한다. 우리나라가 친환경 자동차에 투여하는 보조금이 연간 조 단위인 것에 비하면 제로에너지건축물이나 그린리모델링 사업에 책정된 예산은 인색한 편이다. 우리가 지진이나 안전에 과감한 공적 투자와 규제를 하듯이, 제로에너지건축물 및 그린리모델링이 기후 위기의 시대에 미래세대를 위한 투자라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제로에너지건축물 활성화를 통한 친환경 도시로의 전환은 선진국의 예처럼 많은 중소기업의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성과를 모니터하고 평가할 수 있는 디지털 기반을 만들어 선순환시키는 프로세스가 꼭 필요하며, 제로에너지건축물을 지역과 커뮤니티 차원에서탄소 흡수 및 신재생에너지 생산 공간으로 확장하는 작업도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남양주시는 친환경 도시를 만들기 위하여 장기적이고 지도력 있는 조직을 정비하고 일관성 있게 일을 추진해나가야 한다. 시민사회에서는 기후 위기의 문제를 공공에만 맡기거나 과학기술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음을 인지하고 일상에서 자원 낭비를 최소화하며 공공정책에 꾸준한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이와 같은 일들이 병행될 때 우리와 우리의 미래세대가 행복을 누리며 살 수 있는 친환경 도시가 이루어질 것이다.

목록